6210에 스포츠 트랙커를 설치하여 활용한다면 여러가지 유익한 점이 많다.
그중에 하나가 자신의 이동경로를 GPS 정보를 통해서 확인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인터넷 상에서 공유도 가능하다.
아래는 자전거로 퇴근하는 길의 GPS정보를 구글어스에 적용시켜본 결과다.
GPS정보를 지도에 나타내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는
- 노키아스포츠 트랙커 사이트에 올리는 방법
- Wikilog 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
- 구글어스 맵에 표시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인은 주로 두번째 방법을 이용한다...꽁짜니깐...
1.우선 스포츠 트랙커를 6210S 노키아 폰에다가 설치하는게 가장 우선순위다.
첨부된 파일을 PC-suite를 통해서 설치하면 된다...아주 간단한 것이니 절차는 생략.!!
그렇다면 GPS정보는 어떻게 적용시키는 것일까?
기본적으로 노키아 6210S는 지원GPS, 통합GPS, 네트워크 GPS가 활성화 된 상태로 setting되어 있다.
이는 메뉴-설정-폰설정-일반설정-위치지정-위치지정방식 에 들어가 보면 확인이 된다.
통상 지원GPS(A-GPS)를 활성화 시킨 경우에는 데이타 패킷이 소요됨으로 약간의 비용이 발생한다.
뭐, 그리 큰 비용은 아니지만, 기지국을 통해서 위치를 잡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비용이 나가는 것이다.
만일 이게 아깝다면, 표시 해제하면 된다.
본인은 평소 통합GPS만 사용한다.
2.스포츠 트랙커를 실행 시켜서 GPS 정보를 얻어보자.
필독!!
정상적인 GPS정보를 upload하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을 준수하는게 중요하다.
- 노키아 트랙커 사용유저 이름을 영문으로 작성할 것 : Tom(O), 톰(X)
- 휴대폰의 시간 설정을 12시간(오전/오후)에서 24시간 단위로 설정할 것.
메뉴-설정-폰설정-일반설정-날짜및시간-시간형식(24시간형식)
스포츠 트랙커를 실행시키면 dat 파일로 그 정보가 남는데...
해당 날짜 혹은 workout의 결과를 열어서 옵션- export - export as GPX 를 선택한다.
뭐 Export to google earth로 설정해도 상관없다. 이경우는 확장자가 .kml 로 된다.
3.이제 지도에 GPS정보를 표시해서 Route를 그려 보자.
제일 위에서 언급한 방법에서 본다면 3가지가 있다.
https://sportstracker.nokia.com/nts/main/index.do
1. 노키아 스포츠 트랙커 사이트에 들어가서 개인 계정을 생성시킨다음..
2. 6210S 폰의 스포츠 트랙커에서
옵션- upload to service를 선택하면 해당사이트로 GPS정보를 upload한다.
이때, 데이타패킷 사용료가 데이타의 크기에 따라서 부과된다.
본인은 사용하지 않는다.
다시 본인의 계정에 들어가면, 해당 GPS정보가 생성되어진 것을 볼 수 있다.
단점이라면,
- 데이타패킷 사용료가 부과된다는 것
- 노키아 사이트가 너무 느리다는 것...트래픽이 항상 과부하 걸린 듯한 느낌이다.
1.위키록 사이트에 접속해서 본인의 계정을 하나 생성시킨다.
http://www.wikiloc.com/wikiloc/home.do
등록 후 개인 메일로 확인을 하지 않으면 완전하게 계정이 등록되지 않으므로, 가입한 후에는
반드시 본인의 메일을 확인해야한다. 메일상의 링크를 따라가면 된다.
2. 앞서 생성된 GPS 정보파일을 업로드한다.(*.gpx 혹은 *.kml)
upload trails를 선택하고, 해당파일을 올리면 된다.
주의할 것은 앞서 언급한 영문사용자 이름과 24시간단위의 시간설정이 되어있지 않으면
error가 발생한다.
개인적으로는 *.kml 타입의 구글파일이 더 낫다는 생각이다.
해당 trail에서 view detail을 선택하면 아래 사진과 같이 더 상세한 정보들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구글어스를 통해서도 자신의 route나 trail정보를 지도에 표시할 수 있는데,
Wikilog사이트에 업로드하는 대신에 구글어스에서 해당 파일을 불러들이면 된다.
1. 먼저,
구글어스를 실행시킨다.
구글어스 프로그램이 없다면, 다운받아서 실행시키면 된다.
http://earth.google.com/intl/ko/download-earth.html
2. 다음으로 구글어스에서
파일 열기(open)에서 해당 GPS 파일(.(*.gpx 혹은 *.kml)을 불러들이면 알아서 표시해 준다.
wikilog와는 경로 색깔만 다르다.
3D로 보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