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논잭연결방법'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0.01.08 Balanced cable과 Unbalanced cable에 대하여 1
learning Sound2010. 1. 8. 16:06

이번에는 음향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것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자.

가장 많이 접하면서도, 가장 쉽게 지나치는 부분이 바로 음향 케이블에 대한 것들이다. 물론, 가장 중요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면, Balanced 케이블과 Unbalance 케이블의 특성에 대해서 접근해보자.


Balanced cable

Unbalanced cable

  1. TRS
  2. Tip-Ring-Sleeve
  1. TS
  2. Tip-Sleeve
  1. 외부영향에 의한 왜곡 상쇄기능
  2. 장거리, 약한 신호에 유리(100m정도까지 허용)
  1. 단거리, 강한신호에 유리(10m이하 사용)
  1. 마이크
  2. 임피던스 : 보통 600 옴
  1. 악기 : 전기기타, 스피커 케이블
  2. 임피던스 : 수 K옴 에서 수십 K옴
  1. 3/ XLS(캐논)/TRS(55)/스테레오
  1. 2/TS(55)/모노
  1. 믹서입력 : MIC 입력(XLS 입력 혹은 MIC 입력버튼)
  1. 믹서입력 : 라인입력(55 혹은 라인입력버튼)


Balanced 케이블에 연결되는 단자들은 다음과 같다

1.캐논(XLR)잭 - 55(TRS)잭


2.캐논(XLR:male) -캐논(XLR:female)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케이블로 흔히 마이크 케이블등에 사용된다.



3.TRS(55)잭



4.캐논잭 멀티박스




Unbalanced cable에 연결되는 잭

1.TS(55)잭
연결되는 방법에 따라 다르겠지만 가장 보편적인 타입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케이블들은 어떻게 결선이 되어질까?

1.Balanced cable의 연결



2..Unbalanced cable의 연결



3.Insert leads의 연결




이왕하는 김에 다이렉트 박스(DI Box)와 Balanced/Unbalanced Jack의 연결에 대해서도 좀 알아보자.

DI Box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먼저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한다.
  • 악기의 경우(대부분 모노 출력) : TS(55) 잭을 주로 사용한다. Unbalanced type.
  • DI Box내에는 Transformer가 내장되어 있어서, 신호변환을 해주고
  • 이와 함께 Unbalanced type을 Balanced type으로 변환해 준다.
  • 즉, 여기서 변환은 임피던스를 변환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 보통 악기의 경우 임피던스가 수 K[ohm]이나 캐논(발란스)잭의 경우 약 600[ohm] 정도의 수준이다.
그리고, DI Box는 Active 와 Passive 의 두가지 type이 있다.

 Active Type   Passive Type
 별도의 전원(Battery) 사용  별도의 전원 불필요
 Passive 보다 음질이 나음  


1.Active Type
아래 사진은 베링거에서 나온 Active type의 DI box이다. 
주의할 것은 사용후, 반드시 밧데리 전원을 꺼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나중에 사용하고자 할때 낭패를 볼 수도 있다.



2.Passive Type
EWI에서 나온 Passive type의 DI box이고,별도의 전원이 필요없다.



이상으로 Balanced와 Unbalanced에 대한 개념과 적용을 간략하게 알아보았다.

종종 신디사이즈, 키보드 혹은 악기 연주자들이 가장 간과하기 쉬운것들 중의 하나가 바로 이 부분이 아닌가 싶다.


기본적인 개념만 알고 있다면,
어느 순간에 노이즈가 발생하는 이유를 쉽게 찾을 수도 있고, 왜 스피커에서 소리가 나지 않는지에 대해 보다 빨리 
해답을 찾아 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 시간이 난다면, 유용할 수 있는 정보들을 올릴 것이다.














'learning Sou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udiofire12에 대해서...  (0) 2009.06.19
EQ의 특성과 setting..  (0) 2009.05.21
SM57 마이크에 대한 생각  (0) 2009.05.20
드럼셋팅시 마이크 위치와 종류  (0) 2009.05.20
Posted by 드레곤의 하루